class="layout-aside-right list-type-thumbnail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9

분노조절장애의 증상, 원인, 테스트 1. 분노조절장애란? 충동조절장애(impulse control disorder)의 일종이다. 흔히 분노조절장애라는 명칭으로 유명하나 정식 명칭은 '간헐적 폭발 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분노와 관련된 감정 조절을 이성적으로 할 수 없는 상태이며, 간헐적인 공격 충동이 억제되지 않아 실제 주어진 자극의 정도를 넘어서는 파괴 행동을 저지른다. 대인관계에서 심각한 상황에 부닥치는 것은 물론 법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소년기부터 시작되어 만성질환으로 고착된다. 평균 발병 연령은 14세로 다른 정신과 질환과 비교하여도 매우 이른 편이다. 남성 2 : 여성 1의 비율로 남성에게 2배 정도 더 많이 발병한다. 높은 안드로겐 수치와 호르몬 .. 2024. 2. 19.
포모 증후군, 소외감에 대한 두려움 1. 포모 증후군이란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 혹은 고립공포감은 본래 마케팅 용어였으나, 사회병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심리학 용어로도 사용된다. 포모는 '놓치거나 제외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또는 '자신이 해보지 못한 가치 있는 경험을 다른 사람이 실제로 하는 것, 또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렇게 보이는 상황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에 대해 묘사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사회적 불안 현상은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 지속해서 확인하고 싶어 하고, 또한 다른 사람들 사이에 무슨 이야기가 오고 가는지 알고 싶어 하는 욕구를 특징으로 한다. 포모는 또한 후회에 대한 두려움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사고는 사회적 상호작용, 새로운 경험, 수익성 있는 투자, 또는 만족스러운 사.. 2024. 2. 12.
인위성장애, 뮌하우젠 증후군 1. 뮌하우젠 증후군이란? 허위 또는 과장된 신체 증상을 보이는 정신 질환이다. 뮌하우젠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종종 자신이 심각하게 아프거나 상처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의학적 관심과 치료를 받기 위해 거짓말을 하거나 증상을 과장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다른 사람에게, 특히 자신이 돌보는 사람에게 주로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뮌하우젠 증후군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어린 시절 학대나 방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스트레스, 정신 질환, 신체 질환 등 다양한 요인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2. 뮌하우젠 증후군의 증상 - 허위 또는 과장된 신체 증상 - 의학적 관심과 치료를 받기 위한 거짓말이나 증상 과장 - 다양한 병원이나 의사를 옮겨 다닌다 - 의학적 검사나 치료에 불응한다 - 통증이나 고통에.. 2024. 2. 11.
혹시 나도 어른 아이? 피터팬 증후군 혹시 나도 어른 아이? 피터팬 증후군 1. 피터팬 증후군이란? 성인이 되기를 거부하고 어린이나 소년이 되기를 원하는 심리상태 또는 그러한 행동을 말한다. 어른이 된 후에도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채 어린아이와 같은 행동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책임감이 없고, 항상 불안해하며, 쉽게 현실에서 도망쳐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드는 성향을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어른아이‘의 문제는 오래전부터 존재했고 세계적으로 보이는 현상이지만 2000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그 증가세가 높아졌다. 피터팬 증후군의 악화로 정신과 치료를 받는 경우가 늘고 있고, 그런 자녀의 부모가 정신과 상담을 받는 사례도 늘고 있다. 1970년대 후반 미국의 20대 젊은 남성을 중심으로, 현실에 적응을 거부하거나 .. 2024. 2. 11.
공황장애 증상, 알아가는 시간 공황장애 증상, 알아가는 시간 누가 나의 이름만 불러도 심장이 쫄깃해진다면 초기 ‘공황장애’를 의심해 봐야 한다고 한다. 누군가가 나의 이름을 불렀을 때 순간 식은땀이 쫙 흐르고 ‘무슨 일로 부른 거지? ’ 싶어 심장이 크게 쿵쾅거리고 긴장이 된다면 당신은 초기 ’공황장애‘일 가능성이 높다. 의학계에 따르면 공황장애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 갑자기 극도의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불안 장애의 일종이다. 전문가들은 ”불안해서 가슴이 뛰는 건 당연하다, 그러나 가슴이 뛰니까 불안해지는 것은 병“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특정 장소에 방문하는 것이 꺼려지거나 밖으로 나가기가 싫고 작은 신체감각에도 예민해지는 건강염려증상이 생긴다면 꼭 고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렇듯 우리 일상생활조차 힘들어지는 ’공황장애‘의 초기 증상.. 2024. 2. 8.
번아웃 증후군 1. 번아웃 증후군 번아웃 증후군은 만성적 업무 스트레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생기거나 일에 대한 부정적 생각 혹은 냉소, 에너지 고갈 혹은 소진의 느낌, 직무 효능 감소 등을 특성으로 하는 증상이 동반된다. 번아웃은 건강에 영향을 끼치지만 세계보건기구에서 번아웃 자체를 의학 증상이나 정신질환으로 분류하지는 않는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번아웃은 직업과 관련하여 특히 발생하는 것으로, 일상의 다른 영역에서 경험을 설명하는 데에는 적용할 수 없다고 하였다. 2. 번아웃 증후군 역사 배경 ① 1974년: 허버트 프로이덴버거의 연구 1960년대 미국 사회는 사회 운동이 활발하고 개인이 자아실현 추구 및 봉사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였으며 봉사활동 전문가들의 증가와 함께 스트레스 및 탈진.. 2024. 2. 7.

loading